itsme

1주차 : 보안업무 맛보기 및 Keyword 본문

대외활동/K-Shield 10기

1주차 : 보안업무 맛보기 및 Keyword

itssmeee 2023. 3. 23. 15:38
반응형

1~2주차는 온라인으로 진행된다고 한다! 

월-금 09:00~18:00

보안업무 맛보기 및 Keyword

[용어 정의의 필요성]

  • 오해와 오역을 예방학 이견과 분쟁을 원활하게

[보안의 3요소]

  • 기밀성 : 인가받은 사용자만이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다. (도청, 스니핑)
  • 무결성 : 인가된 사용자에 의해서만 데이터가 변경되어야 한다. (스푸핑)
  • 가용성 : 인가된 사용자가 데이터를 사용하고자 할 때 바로 사용이 가능해야 한다. (DoS, DDoS : DDoS는 DoS의 한 종류)

## 추가적인 2요소

  • 인증 : 정당한 권한을 가진 사용자인 것을 “증명” 하는 것 (0-Trust / 믿지 않는 것, MFA / 다중인증)
  • 부인방지 : 어떠한 행위에 대해서 부인하는 행위를 막기 위한 것

[보안 용어]

  • 자산(asset) : 회사가 보유한 가치를 지닌 것.
  • 위협(threat) : 버그, 오류, 결함 등으로부터 피해를 받을 수 있는 모든 경우
  • 영향 : 보안사고로 발생할 수 있는 정보자산에 대한 위험 및 비용
  • 위험(risk) : 주어진 위협이 자산의 취약점을 이용하여 자산의 손실과 손상을 유발시킬 수 있는 잠재력
  • 로그(log) : 어떠한 기록 => 삭제 가능, 증적자료, 무결성 민감하게 관리.
  • 로깅(logging) : 기록하는 “행위”
  • 감사 추적 : 시스템 활동의 시간별 기록을 추적
  • 도청 안에 스니핑 포함
  • 변조 안에 스푸핑이 포함
  • 데이터 베이스 : 데이터 등의 집합체
  • 데이터 보안 : 저장된 데이터를 보호
  • 데이터베이스 보안 : DB 또는 DBMS 내 저장된 데이터 보호
  • 네트워크 노드 : 연결된 장비나 시스템 (컴퓨터, 프린터 등)
  • 네트워크 시스템 : 데이터 전송 위한 시스템 (라우터, 스위치)
  • 로드밸런싱 : 트랙픽 분산시키기 위한 스위칭 기술, 처리 능력과 가용성을 향상시키는 기술
  • 정보시스템 : 컴퓨터 주변장치, 본체, 단말 등 구성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 백도어 : 개발자가 남겨둔 뒷구멍?
  • 취약점 : 자산들이 지닌 약점
  • 멀웨어 : 악의적인 행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
  • 크랙 : S/W의 비밀을 풀어 불법으로 복제행위
  • 제로데이 : 취약점에 대한 패치가 안 나온 시점에서 이루어지는 공격
  • 원데이 : 패치가 나왔으나 아직 적용하지 않은 시점에서 이루어지는 공격
  • 익스플로잇 : 결함을 이용한 공격 행위
  • 접근 권한 : 특정 사용자가 수행할 수 있는 작업을 정해 놓은 것
  • 접근 통제 : 사용자의 권한에 대한 제한
  • 정보보호 시스템 : 정보 자산 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시스템
  • 침입 방지 시스템 : IPS + IDS + @
  • 침입 차단 시스템(IPS) : IDS + @(확장) -> 탐지와 차단 가능
  • 침입 방지 시스템(IDS) -> 탐지만 가능
  • 터널링 : 유효한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논리적인 터널을 만드는 것
  • VPN : 통신 경로 상에 추가적인 사항을 통해 보안을 적용한 것. 터널링의 한 가지 기술

[스위치]

  • L2 : 일반적인 스위치 -> ARP
  • L3 : L2 + @(라우팅) -> IP, ICMP
  • L4 : L3 + @(로드밸런싱) -> TCP, UDP
  • L7 : L4 + @(보안) -. HTT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