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rsyslog
- Docker #취약점진단
- 윈도우 서버 기본 활용 방안
- 케이쉴드주니어 #1주차 #온라인
- SQLInjection방어방법
- 기업 IT 인프라 구성의 이해
- SQL #Injection
- 케이쉴드주니어 #2주차 #웹 구성 요소의 이해
- 케쉴주
- 자료구조 #알고리즘 #tree #트리순회
- 스톱워치 #JS
- K-Shield 주니어 10기 #지원후기 #최종합격후기 #정보보안 #
- 버블정렬 #bubble sort
- css #float #flexbox #container #item #main-axis #cross-axis
- 삽입정렬 #insertion sort
- 케이쉴드주니어 #2주차 #네트워크 구성 용어의 이해
- 케이쉴드주니어 #3주차 # 가상기업인프라구성
-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BlindSQLInjection
- css #display #position
- XSS방어방법
- 케이쉴드주니어 #1주차
- css #속성
- 모각코 #8월과정 #html #css #javascript
- 리눅스서버 기본 활용 방안
- DB backup server
- 케이쉴드주니어 #3주차 #apache #tomcat
- 자료구조 #알고리즘 #최소비용신장트리 #그래프
- XSS종류
- 정보보안기사
- Today
- Total
목록대외활동/모각코 - 온라인 대외활동 (11)
itsme
Javascript 문법을 어느정도 다 배운것 같다. 이때까지 배웠던 문법을 가지고 챗봇을 만들어보자. 원하는 챗봇을 만들어봤다. 안녕! 시키기 var json = [ { "Q" : "이름이 뭐야?", "A" : "GYEONG!" }, { "Q" : "좋아하는게 뭐야?", "A" : "짱구!" }, { "Q" : "싫어하는게 뭐야?", "A" : "버섯!" }, { "Q" : "몇살이야?", "A" : "비밀!" } ] var Q=""; var A=""; var key=0; function btn() { var input = document.getElementById('input').value; var output = document.getElementById('output'); // var backgr..
이번에는 이벤트에대해서 알아보았다. 이벤트란? 웹을 살아 숨쉬게 만드는 요소이다. 변수와 함수, 조건문과 같은 재료를 통해 이벤트 기능을 구현할수 있다. click me 이 코드를 실행시켜 'click me' 버튼을 누르면, 클릭횟수에 따라 arler창에 뜨는 값이 변경되는 것을 확일할 수 있다. 다음은 콜백에대해 알아보았다. 콜백이란? 다른 함수가 실행을 끝낸 뒤 실행되는 함수를 의미한다. setTimeout() 이라는 함수를 사용하면 된다. setTime(함수, 시간);
javascript에는 다른 언어와는 다르게 '객체'라는 타입이 존재한다. 객체는 기본적으로 '이름'과 '값'으로 구성된 프로퍼티의 정렬되지 않은 집합이라고 정의한다. 예시를 들어 '개'라는 객체가 있다고 가정 해 보면 개의 프로퍼티 => dog.name="댕댕이" dog.age = 1 dog.family = "치와와" 이렇게 개의 속성이 바로 프로퍼티이며, 개 자체가 객체가 되는 것이다. var dog = {name : "댕댕이", age : 1, family : "치와와"} 이렇게 코드로 구현할 수 있다. name, age, family가 각 프로퍼티의 이름이고, "댕댕이",1,"치와와"가 각 프로퍼티의 값이다! 객체에서 프로퍼티를 참조하는 방법은 2가지가 있다. 1. 객체이름. 프로퍼티이름 2. 객..
이제야 작성하기..ㅎㅎ javascript의 함수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함수를 선언할 때 앞에 function이라는 키워드를 붙이며, (함수의 이름, 매개변수, 실행문) 이 세가지 요소를 가지고 있다. function add(num1, num2){ doucment.write(num1+num2); } add(1,2); 위 함수는 add라는 이름을 가진 함수이며, num1 과 num2를 매개 변수로 가지는 함수이다. 그리고 return 이라는 키워드를 이용하여 함수 호출 시 특정 값을 반환할 수 있다. function add(num1, num2){ return num1 + num2; } var res = add(1,2); 이렇게 return 구문을 가지는 함수를 변수와 함께 호출하게 되면, 그 변수에는 re..

15, 16일은 공휴일이어서 푹 쉬다가 왔다. 7일 차에서는 조건문과 반복문에 대해서 알아봤다. 조건문과 반복문은 java에서 사용하는 거처럼 비슷하게 사용하면 되는 거 같았다. 조건문에는 if~else, switch문이 있다. 반복문에는 while, do/while. for문이 있다. 오늘의 과제는 간단하게 스톱워치를 만들어 보는것이다. 00:00:00 시작 멈춤 초기화 스톱워치는 구현해본 적이 없어서 꽤 걸렸다...
이번엔 연산자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1. 산술 연산자 기본적으로 사칙연산을 다루는 연산자이다. 종류는 +, -, *, /, % 가 있다. 2. 대입 연산자 변수에 값을 대입할 때 사용된다. ex) var num = 10; 3. 증감 연산자 변수의 값을 1씩 증가 혹은 감소시킬 때 사용되는 연산자이다. var x = 10; x++; // 연산을 수행한 뒤, x의 값을 1 증가시킴 x--; // 연산을 수행한 뒤, x의 값을 1 감소시킴 ++x; // x의 값을 1 증가시킨 뒤, 연산을 수행함 --x; // x의 값을 1 감소시킨 뒤, 연산을 수행함 4. 비교 연산자 값을 비교해 참 혹은 거짓을 반환하는 연산자이다. var x = 10; var y = 12; var str1 = "10"; x == y; //..

이번에는 타입 및 변수에 대해서 알아봤다. javascript에서는 5가지 타입이 있다. 1. 숫자(Number) 2. 문자열 (String) 3. 불리언 (Boolean) 4. null과 undefined 5. 객체 (Object) c언어나, java나 파이썬에서는 int, String 등.. 타입을 이용하여 변수를 선언한다면 javascript에서는 var라는 키워드를 통해서 변수를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