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리눅스서버 기본 활용 방안
- 기업 IT 인프라 구성의 이해
- 케이쉴드주니어 #3주차 #apache #tomcat
- 케이쉴드주니어 #1주차 #온라인
- 케이쉴드주니어 #3주차 # 가상기업인프라구성
- 케이쉴드주니어 #2주차 #웹 구성 요소의 이해
- XSS방어방법
- css #속성
- css #display #position
- SQL #Injection
- SQLInjection방어방법
- 케이쉴드주니어 #2주차 #네트워크 구성 용어의 이해
- 윈도우 서버 기본 활용 방안
- 케쉴주
- 자료구조 #알고리즘 #최소비용신장트리 #그래프
- 자료구조 #알고리즘 #tree #트리순회
- 정보보안기사
- css #float #flexbox #container #item #main-axis #cross-axis
- rsyslog
- 삽입정렬 #insertion sort
- K-Shield 주니어 10기 #지원후기 #최종합격후기 #정보보안 #
- DB backup server
- XSS종류
-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케이쉴드주니어 #1주차
- Docker #취약점진단
- 버블정렬 #bubble sort
- 스톱워치 #JS
- 모각코 #8월과정 #html #css #javascript
- BlindSQLInjection
- Today
- Total
itsme
3주차 : 가상 기업 인프라 구성(4) - DB Backup Server 본문
1) DB 백업서버의 고정 IP를 지정해준다.
2) DB Server에서 작업을 해줘야 한다.
- sudo apt-get install xinetd rsync
- sudo vi /etc/rsyncd.conf 에서 아래의 내용을 작성
path = /backup
comment = DB server
uid = 65534
gid = 65534
use chroot = yes
read only = yes
hosts allow = [백업서버 IP]
max connections = 3
timeout 600
- sudo vi /etc/xinetd.d/rsync 에서 아래의 내용 작성
service rsync
{
disable = no
socket_type = stream
wait = no
user = root
server = /usr/bin/rsync
server_args = --daemon
log_on_failure += USERID
}
- sudo systemctl restart xinetd
[DB 덤프 및 Cron 등록]
- sudo mkdir /backup
- sudo -s
- vi /backup/backup.sh
#!/bin/bash
mysqldump -uroot -pkisec123 KISEC > /backup/mysql_dump_$(date +%Y%m%d).sql
- chmod u+x /backup/backup.sh
- crontab -e
* * * * * /backup/backup.sh > /backup/backup.log 2>&1
- ls -al /backup/ (확인)
3) DB Backup Server에서
- sudo apt-get install -y xinetd rsync
- sudo vi /etc/xinetd.d/rsync
service rsync
{
disable = no
socket_type = stream
wait = no
user = root
server = /usr/bin/rsync
server_args = --daemon
log_on_failure += USERID
}
- sudo systemctl restart xinetd
- sudo -s
- sudo vi /backup/backup.sh
#!/bin/bash
rsync -avz [가져올 IP]::DBS/mysql_dump_$(date +%Y%m%d).sql /backup/
chmod u+x /backup/backup.sh
crontab -e
* * * * * /backup/backup.sh > /backup/backup.log 2>&1
ls -al /backup/
- log 파일이 새로 업데이트되는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대외활동 > K-Shield 10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3주차 : 가상 기업 인프라 구성(6) - Log Server (0) | 2023.03.28 |
---|---|
3주차 : 가상 기업 인프라 구성(5) - Development Server (0) | 2023.03.28 |
3주차 : 가상 기업 인프라 구성(3) - DB Server (Mariadb 설치 및 연동) (0) | 2023.03.27 |
3주차 : 가상 기업 인프라 구성(2) - Web Server (Apache, Tomcat 설치 및 연동) (0) | 2023.03.23 |
3주차 : 가상 기업 인프라 구성(1) (0) | 2023.03.23 |